건선이란?
-
건선은 수주 (정상주기) 가 아닌 수일 내에 새로운 피부세포가 만들어짐으로써 피부 표면에 이러한 세포들이 쌓여 두꺼운 각질로 이루어진 피부병변이 형성되는 피부 질환입니다. 긁어보면 은백색 또는 하얀색의 비늘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선은 전염성 질환이 아닙니다.
건선의 특징과 원인
아직 확실하지는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 하에 개인의 생활과 환경적인 요인이 유발인자로 작용하여
면역학적인 요인에 의하여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이 일어나서 생기게 됩니다.
무릎, 팔꿈치, 둔부, 머리에 호발하며,
은색 인설을 동반한 선홍색 구진2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10대, 30대 순으로 많이 발생합니다.
건선 치료 클리닉
건선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꾸준한 관리입니다.
보습제등을 꾸준히 바르시고, 스트레스를 피하는 것이 재발방지를 위해 중요합니다.
01국소치료
- 비타민D 연고
-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 억제, 분화 촉진 효과가 있으나 피부과 붉어지거나 자극감, 가려움,
광선치료 시 효과를 줄이므로 광선치료 전날은 도포하지 않습니다.
- 스테로이드 제제
- 피부가 얇아지고 약해지며 혈관확장, 발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02단파장 자외선 치료


건선에 가장 효과적인 311nm의 단일 파장을 이용하여 치료하며,
전신적인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03엑시머 레이저 치료

308nm의 파장으로, 강한 비출 건선부위에만 줄 수 있어 빠른 치료 효과를 보임,
대게 주 2~3회 치료하고 기존의 광선 치료보다 효과가 우수하며 치료 기간이 짧고 소아, 임산부에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04전신 치료
- 합성비타민 A 제제 - 네오티가손
- 피부의 각질을 안정화시켜 치료에 효과적이나 구순염, 피부건조증, 손톱주위염, 기형아 유발(2년까지 피임, 헌혈 금지), 간기능 장애, 혈중 지질
증가(간기능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 싸이클로스포린
- T 세포에 작용하여 치료에 효과적이나 광선치료와 같이 사용할 수 없으며, 혈압, 신장 기능을 주기적으로 체크해야합니다.
건선의 예방
01 | 각질을 손톱으로 벗겨내거나, 때타올 등으로 피부 손상을 피해야 합니다. |
---|---|
02 | 피부 건조증 예방을 위해 보습제를 잘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
03 |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피해야 합니다. |
04 | 상기도 염증(목감기, 편도선염, 인후염 등)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05 | 긁게 되면 건선이 악화되므로, 가려움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06 | 환절기, 겨울철에 조심 : 적당한 운동, 보습제 사용, 가습기로 실내 습도 유지. |
07 | 건선 악화 약물 주의 : 리튬, 베타차단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
08 | 술, 담배는 건선에 해롭습니다.(건선이 심할 경우 심장질환, 뇌졸증 빈도가 높습니다.) |